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계와 한국의 커피 트랜드는? 그리고 2025년 커피는 어디로 갈까...

by iwatchtrends 2025. 4. 30.

요즘은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커피 한 잔을 찾는다.

(라떼로 말씀드리면 일어나자마자 밥을 찾고 반찬투정을 하고..^^)

그런데 내 삶의 트랜드도 바뀌었어서 누군가를 따라가는지.. 아님 나를 따라하는지 모르겠다.

나만 그런 게 아니다.
세계 어디서나, 커피는 단순한 음료가 아니라 일상이자 문화가 되어버렸다.

특히 한국은 그 속도가 어마어마하다.
"세계 최고 수준의 커피 소비 국가"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오늘은 전 세계 커피 트렌드와 한국 커피 트렌드를 나란히 놓고 비교해보고,
앞으로 커피가 어디로 향할지도 함께 생각해보고 구독자님들의 편하게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커피트랜드

1.  전 세계 커피 트렌드

1) 스페셜티 커피 시대

요즘 전 세계 커피 애호가들은 단순히 '커피'를 마시지 않는다.
커피 한 잔이 '작은 탐험'이 된 셈이다.

 

2) 친환경, 윤리적 커피 소비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가 기본이 됐다.
"지구를 위해 마시는 커피", 이건 더 이상 낯설지 않다.

 

3) 콜드브루와 니트로 커피 열풍

차갑게 오랫동안 우려낸 콜드브루, 질소 거품을 입힌 니트로 커피가 강세다.

 

4) 홈카페 문화 폭발

집에서도 카페 못지않은 커피를 즐기는 '홈바리스타'가 늘었다.

 

5) 건강을 위한 대체 커피

디카페인 커피, 버섯커피, CBD 커피 등 건강 커피 시장이 성장 중이다.

2. 한국 커피 트렌드

1) 믿기 힘든 커피 소비량

1인당 연간 소비량 350잔 이상.
편의점 커피부터 스페셜티 카페까지, 커피 없는 하루는 상상하기 어렵다.

제 생각이지만 훨씬 더 많이 소비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만 생각해도 하루에 4~5잔을 마신답니다..^^)

 

2) 스페셜티 커피를 향한 열광

산지와 로스팅을 골라 즐기는 문화가 자리 잡았다.

 

3) 감성과 인증샷 필수

'맛 + 감성 + 사진' 삼박자가 필수 조건이다.

 

4) 디카페인 선택권 확대

디카페인 메뉴가 기본이 되고 있다.

 

5) 홈카페 붐

네스프레소, 브레빌, 드롱기 등 고급 커피 머신 판매량 급증.

- 세계 vs 한국 커피 트렌드 비교표

항목 세계 트렌드 한국 트렌드
스페셜티 커피 고품질 중심, 생산자 스토리 강조 고품질 + 감성 인증 문화 강조
친환경 공정무역/지속 가능성 중시 관심 증가, 대중화는 시작 단계
콜드브루/니트로 대세화 일부 인기 (아직 주류는 아님)
홈카페 생활화 생활화 + 장비 고급화
건강한 커피 디카페인, 대체 커피 급성장 디카페인 확산 (대체 커피는 희귀)

3. 2025년 이후 커피 트렌드 예측

1)  퍼스널라이징 커피

AI 분석으로 '내 입맛 최적화 커피' 서비스 등장.

 

2) 초고급화 vs 초대중화

하이엔드 커피 vs 편의점 커피 시장 동시 성장.

 

3) 지속 가능한 커피

탄소중립 브랜드가 소비 기준이 될 전망.

 

4) 기능성 커피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첨가 커피 시장 확대.

 

5) 메타버스 커피 체험

가상 공간에서 커피 농장 체험 시대 도래.

4. 마무리하며 

커피는 변하고 있다.
맛 좋은 커피를 넘어, 나를 표현하고, 지구를 생각하며, 건강까지 챙기는 시대다.

한국은 이 변화를 가장 빠르게 받아들이는 나라 중 하나다.
몇십년 전부터 한류가 한국의 트랜드가 되었으며

K-커피, K-카페가 세계를 어떻게 흔들지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다.

 

당신에게 맞는 커피는 무엇인가요..?

저는 맛을 잘 몰라서 진하고 구수한 커피를 좋아합니다. 

오늘도 따뜻한 또는 시원한 커피로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