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장영실2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장영실, 시대를 앞선 손을 가진 남자들 15세기 유럽.한 젊은이는 새의 날갯짓을 관찰하며, 사람이 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었다.해부도, 수차(水車), 비행기계까지.그는 예술가이자 과학자였고, 발명가이자 철학자였다.그가 바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다. 같은 시대, 조선의 한 농민 출신 남자는물시계, 자격루, 측우기, 해시계 같은 하늘과 땅을 읽는 기계를 만들고 있었다.신분을 뛰어넘어 조선 과학기술의 꽃을 피운 장영실. 그 역시 사람을 위해 과학을 만든 손이었다.‘기계를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본 시선’은 놀랍도록 닮아 있다. 1. 장영실: 하늘을 측정하고 백성을 돕다장영실은 출신부터가 전설적이다.노비 출신이었지만, 천부적인 기계 감각을 인정받아 세종에게 발탁되었다. “과학은 백성을 위한 것이라야 한다.” 그가 만든 자격루는 물이 일정하.. 2025. 7. 12.
장영실이 일론머스크에게 묻는다.. 일론!! 이런것 할수 있겠어..? 장영실은 세종대왕 시대 과학의 부흥을 일으켰던 위대한 인물이다. 진정한 엔지니어이다. 일론머스크는 세계의 과학 부흥을 일으키고 있는 살아있는 인물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시대를 뛰어넘는 기술의 천재한 명은 조선의 하늘을 재는 천재였고, 다른 한 명은 우주로 로켓을 쏘는 억만장자다. 둘은 ‘불가능’을 ‘기술’로 뒤집어버린 과학자이다. 시대도, 환경도, 사용하는 기술도 다르지만, 이 둘의 공통점은 분명히 있다. “불가능을 묻지 않는다” 1. 하늘을 재던 사나이, 장영실조선의 과학자 장영실은 신분이 낮아도 머리는 하늘을 찔렀다.세종대왕은 그를 그냥 쓰지 않았다. “나라의 하늘을 재고 시간을 정할 사람”으로 임명했다.그는 물시계 ‘자격루’, 해시계 ‘앙부일구’, 그리고 자동으로 움.. 2025. 5. 6.
반응형